remove() 함수
lst = [1, 2, 3, 4, 5]
lst.remove(1)
print(lst)
# [2, 3, 4, 5]
remove는 하나의 원소만 삭제하기 때문에
인자와 일치하는 제일 첫 번째 값만 삭제되고 중복된 값이 있을 경우, 나머지 중복된 원소는 그대로 남아있다.
중복된 모든 원소를 삭제하고 싶을 경우에는 while문을 이용해야 한다. (while 1 in lst)
del 함수
lst = [1, 2, 3, 4, 5]
del lst[1]
print(lst)
# [1, 3, 4, 5]
del 함수는 리스트의 인덱스를 이용해서 원소를 삭제한다.
[:]로 범위에 해당하는 모든 값을 삭제할 수도 있다.
pop() 함수
lst = [1, 2, 3, 4, 5]
lst.pop() # 인자 없음
print(lst)
# [1, 2, 3, 4]
lst = [1, 2, 3, 4, 5]
lst.pop(1) # 인자 있음
print(lst)
# [1, 3, 4, 5]
pop 함수는 함수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가장 마지막 원소가 삭제된다.
인덱스를 인자로 줄 수도 있다.
clear() 함수
lst = [1, 2, 3, 4, 5]
lst.clear()
print(lst)
# []
clear 함수도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리스트의 모든 원소를 제거한다.
728x90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썬] count 함수 (1) | 2024.09.13 |
---|---|
[파이썬] sort, sorted 함수 + 리스트 길이 옵션 (0) | 2024.09.12 |
[파이썬] 파이썬의 대입이란? (0) | 2024.08.30 |
[파이썬] 문자열 인덱스 찾기2 : rfind(), rindex() 함수 (0) | 2024.08.30 |
[파이썬] 알파벳 변환에 쓸 수 있는 ord 함수 와 chr 함수 (0) | 2024.08.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