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swer = divmod(11, 3)
# answer = (3, 2)
divmod 함수는 (몫, 나머지)의 튜플 형태로 값을 반환한다.
따라서 다음과 같이 유용하게 쓸 수 있다
quotient, remainder = divmod(15, 7)
# qoutient = 2
# remainder = 1
728x90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썬] 문자열 인덱스 찾기2 : rfind(), rindex() 함수 (0) | 2024.08.30 |
---|---|
[파이썬] 알파벳 변환에 쓸 수 있는 ord 함수 와 chr 함수 (0) | 2024.08.21 |
[파이썬] 인덱스 찾기 ( index()와 find()의 차이점 ) (0) | 2024.08.17 |
[파이썬] := 연산자 (바다코끼리 연산자) (0) | 2024.08.15 |
[파이썬] for문에서 zip()과 enumerate() 한번에 돌리기 (0) | 2024.08.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