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r()
chr함수는 하나의 정수를 인자로 받아 해당 정수에 해당하는 유니코드 문자로 반환한다.
chr(97)
# 'a'
chr(65)
# 'A'
chr(122)
# 'z'
chr(90)
# 'Z'
ord()
ord함수는 하나의 문자를 인자로 받아 해당 문자에 해당하는 유니코드 정수로 반환한다.
ord('a')
# 97
ord('A')
# 65
ord('z')
# 122
ord('Z')
# 90
728x90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썬] 파이썬의 대입이란? (0) | 2024.08.30 |
---|---|
[파이썬] 문자열 인덱스 찾기2 : rfind(), rindex() 함수 (0) | 2024.08.30 |
[파이썬] 몫과 나머지를 한번에 구하는 divmod 함수 (0) | 2024.08.18 |
[파이썬] 인덱스 찾기 ( index()와 find()의 차이점 ) (0) | 2024.08.17 |
[파이썬] := 연산자 (바다코끼리 연산자) (0) | 2024.08.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