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베이스 13

선언형(Declarative) 언어와 명령형(Imperative) 언어

Declarative Language (ex. SQL)해법을 정의하기보다는 문제를 설명하는 고급 언어무엇(What)을 할 것인지에 중점기능이 이미 갖춰져 있음매뉴얼해법을 정의하기보다는 문제를 설명하는 고급 언어무엇(What)을 할 것인지에 중점기능이 이미 갖춰져 있음(제품 또는 기능에 대한) 매뉴얼다수의 명령어Imperative Language (ex. C, Java, Python)프로그래밍의 상태와 상태를 변경시키는 구문의 관점에서 연산을 설명어떻게(How) 할 것인지에 중점기능을 구현해야 함도구소수의 명령어

데이터베이스 2024.09.25

[DB] 데이터의 종류

구조적 데이터 (정형 데이터)Structured Data테이블 형태(열과 행)로 정리된 데이터데이터 분석에 유리한 구조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 엑셀의 워크시트, 장부/문서 등의 표CSV, TSV와 같은 구분자가 있는 텍스트 파일반구조적 데이터 (반정형 데이터)Semi-Structured DataSelf-Describing StructureXML - json보다 무거움JSON - 가볍고 데이터 교환에 자주 이용됨 (변형될 필요가 없는 텍스트 데이터이기 때문)비구조적 데이터 (비정형 데이터)Unstructured Data미리 정의된 데이터 모델이 없거나 미리 정의된 방식으로 정리되지 않은 정보소셜 데이터, 전자메일, 웹페이지, 위키, 사진, 영상, 소리 등

데이터베이스 2024.09.25

[ERD] 식별관계(Identifying Relationship)와 비식별관계(Non-Identifying Relationship)

식별관계(Identifying Relationship)는 ERD에서 실선(────)으로비식별관계(Non-Identifying Relationship)는 점선(--------)으로 나타낸다.  식별관계(Identifying Relationship)는 부모 테이블의 기본키(Primary Key) 또는 복합키(Composite Key)가 자식 테이블의 기본키(Primary Key) 또는 복합키(Composite Key)로 사용되는 관계는 서로 종속되게 된다. 비식별관계(Non-Identifying Relationship)는 부모 테이블의 기본키(Primary Key) 또는 복합키(Composite Key)가 자식 테이블의 외래키로 사용되어 부모는 자식의 부분적인 정보만을 표현하므로 자식 데이터는 부모 데이터 ..

데이터베이스 2024.07.21